▲ 안수봉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정하고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신재생에너지 역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2013년 10월에 개최되었던 ‘대구 세계에너지총회’에서 발표된 ‘2050 미래를 위한 에너지 구상’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 세계 에너지믹스에서 재생에너지 비율이 20 ~ 30% 수준으로 높아진다고 전망하고 있다.
에너지 문제는 명백히 현실적 문제이다. 어느 한쪽의 면에 치우쳐 결정될 사안이 아니라, 경제성, 안정성, 보편성, 지속성 등이 종합적으로 필요하다. 이 중 경제성과 관련지어 풍력발전을 예를 들어 본다면 원자력발전소 100만kW 1기와 동일한 전력량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원자력발전소 부지의 약 336배 면적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밤낮, 계절, 기후 등 자연조건의 영향을 크게 받아 안정적인 전력수급에 어려움이 있다.

2013년 2월에 확정된‘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보면 2027년까지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량 비중을 12%(3,201만kW)로 끌어올리기 위해 456만kW의 설비를 추가하기로 되어있다. 현재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실현가능성은 논외로 하더라도 투자해야 할 막대한 비용에서 경제성이 확보되는지 의문이 든다.

기후변화와 에너지 안보에 고심하는 인류에게 신재생에너지는 청정에너지원으로서 전 지구적인 화두가 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신재생에너지는 환경과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 외에도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과 성장동력을 제공하는 산업으로 각광되고 있으며, 2009년에는 1,620억 달러의 시장을 형성하며 이미 메모리반도체나 디스플레이 산업규모를 제쳤고, 2020년에는 약 1조 달러의 시장을 형성하여 현재의 자동차 시장과 비슷한 규모를 가진 산업으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2011년 전력생산량 중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은 목표치 7%의 절반도 안되는 2.75%이었으며 이 중 대부분이 산업현장과 일상생활에서 나오는 폐기물을 활용한 에너지였다. 이 중 국제적으로 진정한 것으로 인정되는 비율은 0.9%뿐이었다.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와 발전차액 제도, 바이오디젤 혼합강제 제도 등 다양하고 광범위한 정책적인 지원 그리고 보조금이 있었지만 결국 신재생에너지 대한 한계를 명백히 보여주었다.

그렇다면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무엇인가? 신재생에너지 그 자체에서 해답을 찾기에는 당분간 불가능해 보인다. 경제성, 안정성, 보편성, 지속성 등을 균형적으로 갖춘 에너지원이 필요하다. 이러한 부분에서 원자력 발전이 공급 가능성과 경제성 측면에서 뛰어난 에너지원으로서 고려될 수 있을 것이고, 이러한 부분이 에너지 전문가들이 우리나라의 중장기적인 에너지 믹스 계획에서 원자력 비중을 현행대로 유지하거나 오히려 소폭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유이다.

신재생에너지는 현재와 미래에 꼭 필요한 에너지자원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좁은 국토여건, 개발과 설비에 드는 비용, 에너지안보를 고려했을 때, 신재생에너지의 전면적인 사용은 어려운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에너지 안보, 경제성, 저탄소발전원 등 종합적인 측면에서 대안이 나타나기 전까지 원자력에 대한 의존을 줄일 수 없다. 우리나라의 환경에 맞는 신재생에너지의 개발과 상용화 이전까지 “브릿지 에너지(Bridge Energy)”로서 안정적으로 대용량의 전력을 경제적으로 생산하는 원자력발전의 중요성은 앞으로도 계속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