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공사 [연합뉴스TV 제공]

석탄화력발전과 원자력발전이 주된 발전원(源)으로 자리 잡으면서 이들 발전소가 밀집된 지역으로 발전설비가 편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전기를 많이 생산하는 지역과 많이 소비하는 지역이 따로 노는 불균형 구조도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

21일 한국전력의 전력통계속보 등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발전설비용량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원자력발전소가 몰려 있는 울산이었다.

작년 12월 신고리 원전 3호기가 완공되면서 발전설비용량이 전년보다 43.2%(약 1천420㎿) 증가했다.

반면 울산의 지난해 전력 소비량은 321억㎿h로 전년(약 303억㎿h)보다 약 6% 증가하는 데 그쳤다.

여기에 더해 울산에는 올해 11월 완공될 신고리 원전 4호기(설비용량 1천400㎿)를 포함해 신고리 5호기(1천400㎿·2021년), 신고리 6호기(1천400㎿·2022년) 등이 잇따라 들어설 예정이다.

그다음으로 충남에는 지난해 당진화력 9·10호기, 태안화력 9호기 등 3천513㎿의 신규 석탄발전소가 들어서면서 설비용량이 2015년보다 약 21% 증가했다.

충남은 전체 발전설비 용량이 2만419㎿로 전국에서 발전설비가 가장 많이(전체의 19.3%) 들어서 있으며, 특히 전체 석탄화력발전소(3만2천23㎿)의 약 48%(1만5천310㎿)가 이 지역에 세워져 있다.

지난해 새로 지어진 전체 석탄발전설비 약 4천690㎿ 중에서도 약 75%가 충남 지역에 들어섰다.

그러나 지난해 전국의 전력사용량 가운데 충남에서 소비한 양은 485억㎿h로 9.7%에 그쳤다. 전년 대비 증가율도 2.5%에 불과했다.

그 뒤를 이어 강원에는 작년 12월 삼척에 약 1천100㎿h 규모의 석탄화력발전이 준공되면서 설비용량이 전년보다 32.7% 증가했다.

하지만 전력 수요는 1.8% 증가한 165억㎿h에 그쳤다.

전북의 경우에도 전력사용량은 2.9%(221억→227억㎿h) 늘어나는 동안 설비용량은 21%(2천533→3천66㎿) 증가해 설비용량 증가율이 사용량 증가율을 크게 웃돌았다.

반면 전국에서 전기를 가장 많이 쓰는 경기(1천94억㎿h)의 경우 지난해 발전설비용량은 3.4% 증가하는 데 그쳤다. 충남에 이어 세 번째 소비처인 서울은 지난해 아예 발전설비용량이 22.9% 감소했다.

이처럼 전력 수요와 관계없이 특정 지역으로 발전설비가 편중되는 것은 발전 때 1순위로 가동되는 기저발전인 석탄화력발전과 원자력발전의 설비 특성상 입지가 제약되기 때문이다.

원전과 석탄발전은 바닷물을 발전용수로 사용하는 데다 연료 수입이 용이하고 안전사고 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해안가에 주로 건설한다.

특히 환경 문제나 안전규제 등으로 인해 이들 발전소는 전력의 주 수요처인 수도권에는 들어서기 힘들다.

그러다 보니 이처럼 지역별 전력생산-소비 간 불균형이 심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력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이미 2015년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구상한 대로 수요처 인근에 소규모 발전전원을 짓는 '분산형 전원' 확대 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