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중심의 울산의 제조업이 더 이상 시민들에게 양질의 고용을 보장해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어제 동남지방통계청이 공개한 ‘통계로 본 울산의 제조업 현황’에 따르면 지난 2016년 기준 울산의 제조업체는 모두 6,891개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하지만 제조업 종사자 수는 17만8,000명을 전년과 비교해 7,000명 이상 감소했다. 이 같은 제조업 종사자 감소현상은 지난 2014년 이후 계속되고 있다. 이는 조선업의 침체로 제조업 근로자들이 대거 실직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지난해 고용률은 58.5%로 울산이 광역시로 승격한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는 제조업 상용 일자리에서 쫓겨난 근로자들이 임시 및 일용직근로자나 자영업자로 전환되었다는 의미다. 양질의 일자리가 줄어들고, 고용의 질이 나빠지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어서 대단히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울산의 산업구조 재편에 대한 문제 제기는 그동안 수없이 이뤄졌다. 하지만 지역사회는 여전히 대기업 중심의 제조업, 특히 장치산업 위주의 일자리 정책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대기업에 문제가 생길 경우 지역 산업 전반이 휘청거리고 일자리가 급속히 줄어들 수밖에 없다. 
이는 관광 등 서비스 산업, 4차 산업시대를 대비한 신산업 위주로 산업구조를 재편하고 있는 다른 대도시들과 비교된다.

무역협회 산하 국제무역연구원이 지난 2016년 수출을 분석한 결과 울산 수출비중은 경기, 충남에 이어 전국의 13.2%로 3위였지만, 신산업 수출 비중은 불과 0.9%로 13위에 그쳤다. 신산업 수출비중은 충남이 23.2%로 가장 높았고, 인천, 경기, 서울, 광주가 상위권이었다. 이들 도시들은 로봇이나 바이오헬스, 드론, 프리미엄소비재, 에너지신산업, 첨단신소재, 차세대 디스플레이, 차세대 반도체 등 다양한 사업으로 미래 활로를 개척하고 있다. 이들 산업들은 대기업이 주도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중소기업이 견인하고 있다.

관광 등 서비스 산업도 마찬가지다. 관광산업의 경우 지난해 울산 방문의 해 등으로 700만 명의 관광객을 유치했다고는 하지만 제대로 된 산업기반을 갖췄다고 보기엔 무리가 있다.
조선업 위기를 겪고 있는 울산은 한편으론 산업 구조를 재편할 절호의 기회다. 정부는 울산의 산업재편에 보다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울산시도 미래 먹거리 산업을 견인할 중소기업들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고, 관광 등 서비스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대책도 서둘러야 한다. 울산 시민들의 일자리를 언제까지 대규모 제조업에만 맡길 수 없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