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여러 지자체 앞다퉈 에너지 관련 기관 운영
석유·전력 등 에너지 소비 전국 최상위권 울산
더 늦기 전에 에너지 전문기관·연구원 설립을

 

김종용 에너지경제연구원 대외협력홍보팀장

에너지경제연구원에서 매년 발행하고 있는 지역에너지통계연보에 의하면 울산은 전국 16개 광역 시·도중에서 2015년 기준 1인당 1차 에너지(자연이 제공한 그대로의 가공하지 않은 에너지) 소비량은 2만2,922toe로 6위이며, 1인당 석유 소비량은 137.36bbl, 전력 소비량은 2만6,360kWh로 1위이다.

또 울산은 2004년부터 현재까지 동해가스전에서 천연가스 및 초경질 원유를 생산해 우리나라를 산유국으로 만들어준 도시이다. 이같은 인연으로 울산 혁신도시에는 2015년 에너지·자원 싱크탱크(Top Energy and Resource Policy Think Tanks) 세계 4위(2017년 기준)에 선정된 에너지경제연구원이 이전해 왔다. 

이와 더불어 석유자원의 개발과 비축을 담당하는 한국석유공사와 국내에서 전기를 생산해 판매하는 한국동서발전도 2015년부터 울산혁신도시로 이전을 했다. 이렇듯 울산은 에너지와 매우 밀접한 도시이자 충분한 인프라가 구축된 상태이다. 

오는 6월 13일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광역단체장 17명을 비롯한 4,016명의 지역 일꾼을 잘 뽑아야 하는 이유도, 그 인물들이 ‘안성맞춤’ 식으로 정책을 개발해서 보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여러 광역단체에서 에너지 분야를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기관이나 연구소를 만들고 있다. 서울시의 경우 2016년 12월 21일에 서울에너지공사를 설립했다. 서울에너지공사는 서울시를 친환경에너지로 에너지 자립을 이끌고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다. 서울시를 위해 집단에너지와 신재생에너지를 확대보급하고 에너지 절약과 효율화 사업을 시민이 중심이 돼서 활동하는 것이 서울에너지공사의 주요 역할이다. 

광주시의 경우 2015년 5월 에너지밸리기술원을 설립했다. 에너지밸리기술원은 광주시에 에너지산업의 성장축이 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다. 에너지밸리기술원은 광주시를 위해 에너지 기술과 연구과제 개발 및 에너지기업 창업 지원 등을 하고 있다.

경기도는 2016년 5월 경기도에너지센터를 설립했다. 경기도에너지센터는 에너지비전 2030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실행과 에너지 혁신주체와 협력해 기업과 도민의 에너지 복지를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다. 경기도에너지센터는 경기도를 위해 에너지 절약 방안 마련 및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지원 기능이 주요 역할이다. 

전라남도는 2013년 9월 녹색에너지연구원을 설립했다. 신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전라남도를 에너지신산업 중심지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으며, 전라남도를 위해 태양·풍력·조류·지열·전기차 소재 분야를 연구개발하고 있다. 또 ESS 등과 연계하는 에너지신산업 개발을 주요 역할로 삼고 있다. 

경상북도도 2016년 1월 에너지산업진흥원을 설립했다. 경상북도에 동해안에너지클러스터 조성 사업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으며, 짝수년도에는 국내 에너지 분야 다보스포럼이라고 불리는 월드그린에너지포럼과 홀수년도에는 경상북도 동해안 지역을 청정 에너지 중심으로 육성하는 것이 주요 역할이다. 

제주도의 경우 2012년 7월에 제주에너지공사를 설립했다. 신재생에너지를 보급을 통해 ‘탄소제로섬 제주’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다. 태양광 및 풍력산업을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육성하여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것을 목표로 활동 중이다. 

이처럼 여러 지역에서 에너지 관련 기관의 중요성을 깨닫고 적극 설립하고 있다. ‘늦은 것을 알았을 때가 가장 빠른 때’이고 ‘시작이 반’이라는 속담이 있듯이 이제라도 울산에 에너지 관련 전문 기관이나 연구원을 설립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울산은 1925년에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조지 버나드 쇼(1856~1950)의 무덤 묘비명에 있는 내용대로 될 수 있다. 묘비 내용은 ‘우물쭈물하다가 내 이럴 줄 알았다(I knew I stayed around enough, something like this would happen)’ 이다.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