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저출산·고령화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전국 시구군과 읍면동 10곳 중 4곳이 인구 감소로 소멸할 위험에 처해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다행히 울산은 심각한 수준은 아니지만, 조선업을 비롯한 제조업 불황으로 소멸위험지수 등락폭이 점점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228개 시군구 가운데 ‘소멸 위험 지역’은 2013년 33%에서 39%로 증가했다. 전국적으로 기초자치단체 89곳 지역이다. ‘소멸 위험 지역’은 한 지역의 가임 여성인구 수가 고령자의 절반이 안되는 곳을 말한다. 소멸위험지수는 △1.5 이상 ‘매우 낮음’ △1.0~1.5미만 ‘보통’ △0.5~1.0미만 ‘주의단계’로 나누고, 0.5미만부터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하는데, 0.2를 기준으로 이상은 소멸위험진입 단계, 미만은 소멸고위험지역이다.

올해 강원 철원군과 부산 중구, 경북 경주시 등이 ‘소멸 위험 지역’에 포함됐다. 경남 사천시와 전북 완주군도 올해 안에 ‘소멸 위험 지역’이 될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울산은 올해 ‘소멸위험 보통’ 단계로 분석됐다. 2013년 7월 ‘매우 낮음’에서 한단계 떨어진 것이다. 소멸위험지수는 7월 기준으로 △2013년 1.77 △2014년 1.65 △2015년 1.54 △2016년 1.45 △2017년 1.34 △2018년(6월) 1.23 등으로 점차 하락세에 있고, 그 폭도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추세라면 울산도 3년 이내 ‘주의단계’ 접어들 것으로 보인다.

이 보고서는 최근 소멸위험지역이 산업도시, 광역대도시로 확산되고 있으며, 특히나 조선업과 자동차 등 지방 제조업의 위기로 지역 산업기반이 붕괴하면서 지방 인구유출이 더욱 가속화되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