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볕더위가 멈춰선 문턱에서 선선한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해마다 맞이하는 가을이지만 유난히 더웠던 여름의 잔해가 사라지지 않고 있다. 바람은 어느새 가을을 품었다. 밤이면 기온이 떨어져 이슬이 맺히기 시작한다는 절기 백로(白露·9월 8일)도 지나갔다.

땅에 내린 식생의 씨앗이 움을 틔워 무더운 여름에 자랐다가 수확의 낫질을 거쳐 창고로 옮겨지는 계절이 한자 秋(추)의 가을이다.

만물이 기지개를 켜는 봄은 청춘(靑春), 여름은 더워 주하(朱夏), 가을은 서늘하다고 해서 소추(素秋), 겨울은 어둡고 춥다는 점에서 현동(玄冬)이다. 방위로는 동서남북(東西南北)의 순서다. 푸르고(靑) 붉고(朱) 희고(素) 검은(玄)색이 각각 4계절의 특징을 드러낸다.

시간이 속절없이 흐른다는 점을 새삼 일깨우는 계절이 가을이다. 가고 오는 더위와 추위, 즉 한래서왕(寒來暑往)의 기후적인 변화에서 한해의 끝을 절감토록 한다. 이미 익은 곡식들을 거둬들여야 하니 가을을 수성(收成)의 계절이라고도 적는다. 아울러 안으로 거둬 쟁이는 수렴(收斂)의 의미도 있다. 덧붙여 성찰(省察)과 회고(回顧)를 재촉하는 때이기도 하다. 분주한 가운데 되새겨야 할 가을의 의미다.

지금까지 여름이라면 6~8월 석달을 생각했지만, 기후변화 탓으로 이제는 9월도 여름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기상청은 밝혔다. 

기온분석자료(1911~2017년)에 따르면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서울의 여름일수는 평균 131일이었다. 기상청은 하루평균 기온이 20도를 넘은 뒤부터 다시 20도 밑으로 내려갈 때까지를 여름으로 본다. 이 기준에 따라 최근엔 5월 21일 여름이 시작됐고, 9월 29일에 가을로 넘어갔다. 사실상 10월에야 가을이 찾아오는 것이다. 가을 시작이 늦어지면서 가을 일수는 54일로 두 달이 채 안된다.

전 세계적인 온난화 현상에다가 대도시는 열섬효과로 인해 최저 기온까지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여름이 길어지고, 겨울이 짧아지는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보통 여름일수가 120일을 넘으면 아열대, 150일을 넘으면 열대기후로 본다. 우리 대도시들은 아열대를 넘어 열대기후가 될 가능성이 큰 가운데 이제 ‘9월도 여름’이다.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