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이 17일 울산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수소 경제와 미래 에너지, 울산에서 시작됩니다' 행사에 도착하며 정의선 현대자동차 수석부회장 등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정부가 17일 울산시청에서 ’수소 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 산업도시 울산이 재도약할 수 있을지 지역의 관심이 집중된다.
2040년까지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큰 정책 방향성과 목표 및 추진전략 등이 담겨있는 이번 로드맵의 주요 내용은 수소 가격을 1kg당 3,000원까지 낮추고 지난해 1,800대 수준이었던 수소차를 2022년 8만1,000대, 2040년 620만대까지 늘리는 것을 골자로 한다.
정부는 수소 경제를 통해 자동차·선박 등 수송분야는 물론 전기·열 생산 등 에너지분야까지 다양한 새로운 시장과 산업창출이 가능하고 수소 생산, 운송·저장, 충전소 등 인프라 구축은 연관산업 효과가 크고 중소·중견기업의 투자와 고용창출이 가능한 미래 성장산업으로 판단했다.
뿐만 아니라 온실가스 감축, 미세먼지 저감, 재생에너지 이용 확대 등 친환경 에너지 확산과 에너지원 다각화, 해외 에너지 의존도 감소 등 에너지 자립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정부는 수소차·연료전지를 양대축으로 ’세계 최고수준의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도약‘을 비전으로 △수송, 에너지(전기·열) 등 수소활용 확대로 세계시장 점유율 1위 달성 △Grey 수소에서 Green 수소로 수소생산 패러다임 전환 △안정적이고 경제성있는 수소 저장·운송 체계 확립 △수소산업 생태계 조성 및 전주기 안전관리 체계 확립 등을 민·관 역할 분담을 통해 추진할 방침이다.
■수소 모빌리티, 수소차 620만대 생산 및 수소충전소 1,200개소 구축
정부는 2040년까지 수소차 620만대(내수 290만대, 수출 330만대)를 생산을 목표로, 올해 신규만 4,000대 이상 보급할 계획이다.
또 2025년까지 연 10만대의 상업적 양산체계를 구축, 수소차 가격을 내연기관차 수준으로 하락시킨다.
2022년까지 막전극접합체, 기체확산층 등 핵심부품의 국산화율 100% 달성을 목표로 한다.
수소 버스 역시 2019년 35대에서 2022년 2,000대, 2040년에는 4만대 까지 늘려나갈 예정으로, 올해 7개 주요도시에 35대 보급 사업을 시작하고 경찰버스 등 공공부문 버스 역시 수소 버스로 전환한다.
택시는 올해 서울에서 10대의 수소택시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2021년 주요 대도시에 보급하고 2040년 8만대를 목표로 한다.
2020년까지 수소트럭 개발 및 실증을 거쳐, 2021년부터 쓰레기수거차, 청소차, 살수차 등 공공부문에 적용하고 물류 및 민간 영역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이와 함께 수소 충전소 역시 대폭 확대한다. 2040년까지 1,200개소 구축을 위해 수소충전소 경제성 확보시까지 설치보조금을 지원하고 운영보조금 신설도 검토하고 있다.
민간주도 충전소 확대를 위해 SPC 참여 확대 및 기존 LPG·CNG 충전소를 수소충전이 가능한 융복합 충전소로 전환토록하고, ‘규제샌드박스’를 활용해 도심지, 공공청사(정부세종청사 등) 등 주요 도심 거점에 충전소 구축을 추진한다.
■에너지 분야, 연료전지 발전용 15GW 가정·건물용 2.1GW 보급
2040년까지 발전용 연료전지 15GW(내수 8GW) 보급한다.
구체적으로 2022년 까지 국내 1GW 보급으로 규모의 경제 달성하고, 2025년까지 중소형 LNG 발전과 대등한 수준으로 발전단가 하락, 중장기적으로 설치비 65%, 발전단가 50% 수준 하락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2019년 상반기에 연료전지 전용 LNG 요금제를 신설하고, 당분간 REC 가중치도 유지해 투자 불확실성을 제거한다.
가정·건물용으로는 2040년까지 연료전지 2.1GW 94만 가구 보급이 목표다. 설치장소, 사용유형별 특징을 고려한 다양한 모델을 출시하고, 공공기관, 민간 신축 건물에 연료전지 의무화를 검토할 계획이다.
또 대규모 발전이 용이한 수소가스터빈 기술개발 및 실증을 통해 2030년 이후 상용화할 예정이다.
■수소 생산, 그린수소 확대로 연 공급량 526만톤 가격 3,000원/kg 달성
부생수소, 추출수소를 초기 수소경제 이행의 핵심 공급원으로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추가로 공급 가능한 약 5만톤의 부생수소(수소차 25만대 분량)를 수소경제 사회 준비물량으로 활용하고, 천연가스 공급망에 대규모·거점형 수소생산기지, 수요처 인근에 중·소규모 수소생산기지 구축을 확대한다.
수소추출기 국산화 및 효율향상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바이오매스 활용 등 추출수소 생산방식 다양화에 나선다.
아울러 수전해와 관련 2022년까지 MW급 재생에너지 연계 수전해 기술을 확보하고, 대규모 태양광·풍력 발전과 연계하여 수소 대량생산 추진한다.
또 해외생산 거점 구축 및 수소 생산·수입을 통해 안정적인 수소 수급과 가격 안정, 온실가스 감축, 연관산업(운송선박 등)을 육성한다.
정부는 수전해와 해외생산수소 활용등을 통해 그린수소 산유국으로 도약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는 수소 생산량을 2018년 13만톤에서 2040년 526만톤으로 확대하고,대량 안정적 공급으로 수소 가격을 3,000원/kg 이하로 하락하도록 유도한다.
■저장·운송, 안정적이고 경제성 있는 수소유통체계 확립
우선 고압기체, 액체, 액상, 고체 등 저장방식의 다양화와 효율화를 꾀한다.
고압기체 저장과 관련된 규제 완화(충전압력 35MPa → 45MPa 이상, 내부용적 150L → 450L 이상으로 상향)를 통해 안전성·경제성이 우수한 수소 액화·액상 저장기술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
수소 수요 증가에 맞춰 튜브트레일러 및 파이프라인 활용도 확대한다.
고압기체수소 튜브트레일러 경량화를 통해 운송비를 절감하고, 장기적으로 전국을 연결하는 수소 주배관 건설하는데, 단기적으로는 민간주도로 수소 수요가 많은 곳에 파이프라인을 건설하고 장기적으로 전국으로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전주기 안전관리 체계 확립 및 수소산업 생태계 조성
수소 경제를 ‘도시가스’ 수준 이상으로 국민들이 신뢰할 수 있도록 수소 생산, 저장·운송, 활용 전주기에 걸쳐 확실한 안전관리 체계 구축한다.
수소 안전관리 전담 법령을 제정하고 충전소 부품, 시스템 등에 대한 안전기준을 국제기준에 맞게 제·개정하며 안전성 평가 센터를 운영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수소안전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 및 국민 인식 제고를 위해 수소 안전 가이드북 보급, 수소안전 체험관 구축 등 프로그램을 확대한다.
기술경쟁력 제고를 위해 관련부처 공동 수소경제 이행에 따른 상세 기술로드맵을 수립하고, 안전관리 및 핵심기술개발 전문인력 양성에 나선다.
2030년부터 15건 이상의 국제표준 제안 및 국제표준화 활동 적극 참여한다.
또 올해 (가칭)수소경제법을 제정,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 수립, 전문기업 지원, 규제개선 등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한다.
법 제정과 연계해 국무총리를 위워장으로 하는 ‘수소경제 추진위원회’를 구성·운영, 중장기적으로 전담 지원 및 진흥기관을 검토하도록 할 예정이다.
아울러 구매조건부 기술개발 및 핵심인력 지원, 설비투자 및 운영비 지원 확대 등을 통해 수소 전주기 소재·부품 중소·중견기업의 성장을 지원한다.
정부는 이번 로드맵 이행을 통해 수소 경제를 미래먹거리로 2040년에는 연간 43조원의 부가가치와, 42만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