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부산시 기장군 고리원자력본부에서 열린 동남권 원전해체연구소 설립 MOU 체결식에서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송철호 울산시장, 오거돈 부산시장, 이철우 경상북도지사, 정재훈 한수원(주)사장, 주낙영 경주시장, 강길부 국회의원, 이선호 울주군수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우성만 기자  
 

울산과 부산이 국내 첫 원전해체연구소를 공동으로 유치하는데 성공, ‘세계 최고의 원전해체산업 선도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첫 걸음을 내디뎠다.

이는 국가경제발전을 위해 경쟁보다는 협력과 소통을 통해 더 큰 시너지를 창출하는 지자체간 대표 상생모델로 자리매김하게 될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오후 2시 30분 국내 최초의 해체예정 원전인 고리원전 1호기(부산 기장군 장안읍 소재) 현장에서 ‘원전해체연구소 설립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식’을 가졌다.

산업부는 이 자리에서 원전해체연구소(본원·경수로)는 부산·울산 경계 일원인 고리원전내에 오는 오는 2021년 하반기까지 설립하고 중수로 원전 4기가 위치한 경북 경주시 감포읍 일원에는 중수로에 특화된 중수로해체기술원이 들어선다고 발표했다.

원전해체연구소는 국내 원전해체산업의 컨트롤 타워 기능을 수행하며, 집적화된 연구기반과 실용화 기반 제공은 물론 연구개발 인재를 육성하고 산업체에 필요한 기술지원 등 해체기술 자립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신고리 7,8호기에 인접한 양측 행정경계선에 걸치는 부지 3만6,000㎡에 2,400억원을 들여 지어지는 원전해체연구소는 범용 기술과 경수로 분야 폐로 기술 연구를 맡는다.

산업부는 이에대해 “경수로와 중수로는 원자로 형태가 달라 별도 폐로 기술이 필요한 데다 연구소가 일원화돼 있으면 장비나 폐기물 운반 거리도 길어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산업부는 다음 달 설립준비단을 구성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원전해체연구소 설립이 폐로 산업 육성의 발판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만 해도 폐로 산업의 잠재적 규모가 22조 원이 넘기 때문이다. 여기에 다른 나라의 폐로 수요까지 합치면 관련 산업 수요가 550조 원이 넘는다는 게 정부의 추산이다.

다만, 아직 기술이나 인력 확보를 위한 투자가 더 필요하다. 산업부가 지정한 원전 해체 핵심 기술 96개 중 한국이 확보한 기술은 73개에 불과하다. 나머지 기술은 원전해체연구소를 통해 확보해야 한다. 해체 전문 인력 역시 당장은 미국 등 기술 선도국에 일정 부분 의존해야 한다. 산업부는 고리 1호기를 폐쇄하는 데만 전문인력 900~1000명가량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했다.

울산시는 이날 원전해체연구소 유치로 울산지역에 2,500여명의 신규 건설 일자리 창출과 원전해체 기업 집적화, 해체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등의 파급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이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달 안으로 ‘원전해체산업 육성방안’을 내놓기로 했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도 이날 고리원전에서 민관 전문가들과 ‘원전해체산업 육성방안 마련을 위한 간담회’를 열고 “고리 1호기 해체를 기회로 원전기업의 미래 먹거리로서 시장을 선점해나갈 필요가 있다”며 “2022년까지 물량 조기 발주, 민관 공동 연구개발(R&D), 장비개발·구축 등 선제투자를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는 성윤모 산업부 장관, 오거돈 부산시장, 송철호 울산시장, 이철우 경상지사, 정재훈 한국수력원자력 사장, 최인호 의원 등 지역 국회의원, 원자력연구원, 원자력환경공단 등 원자력 관련 유관기관, 두산중공업, GS건설 등 원전 전문기업·연구기관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이날 “정부의 원전해체산업 육성전략 발표와 원전해체연구소 울산·부산 유치를 계기로 국가와 지역의 원전해체산업 육성 액션 플랜을 차질없이 이행하고, 세계 1위의 원전해체산업 경쟁력 확보라는 국가비전 실현을 위해 최선을 다해 나아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한편 현재 국내에 가동 중인 원전은 모두 24기로 이 가운데 12기 수명이 2030년에 끝난다. 정부는 수명이 끝나는 원전을 모두 해체하는데 드는 비용은 10조원 이상 소요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이 2017년 영구폐쇄한 고리 1호기를 2032년까지 7,515억원을 들여 해체하기로 한 점을 고려된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