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해체연구소 설립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식이 어제 한수원 고리원자력본부에서 열렸다. 원전해체산업의 핵심 인프라가 울산 서생과 부산 기장군의 경계 지점에 들어선다는 것을 공식화한 것이다. 그동안 원전해체연구소 유치를 위해 열과 성을 다한 울산시 등 관련기관과 시민사회단체의 노력에 박수를 보낸다.

원전해체연구소는 국내 원전해체산업의 컨트롤 타워 기능을 수행하고, 집적화된 연구기반과 실용화 기반 제공은 물론 연구개발 인재를 육성하고 산업체에 필요한 기술지원 등 해체기술 자립 환경을 조성하는 기관이다. 또한 연구역량과 산업역량이 결합되는 세계적인 원전해체 클러스터의 허브가 되어, 국내 원전 해체산업 육성과 향후 원전해체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원전해체산업은 장치산업의 쇠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경제의 회생을 도울 수 있는 미래형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다. 정부 정책에 따라 현재 가동 중인 원전 24기 중 12기가 오는 2030년까지 수명이 끝나 해체 수순을 밟아야 한다. 국내 첫 원자력 발전소인 고리 1호기는 이미 폐쇄가 결정된 상태다.

원전해체산업은 세계적으로도 유망한 산업이다. 전 세계에서 영구 정지한 원전 총 166기 가운데 해체를 마친 원전은 19기 뿐이다. 앞으로 60년 안에 약 400여기의 원전이 수명을 다할 전망이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세계 원전해체 시장 규모를 2030년 500조원, 2050년 1,000조원으로 내다보고 있다. 반면 현재 원전 해체 경험이 있는 국가는 미국·독일·일본 뿐이다.

울산과 부산이 원전해체연구소를 공동 유치한 것도 다행이다. 울산은 이미 원전해체산업에 필요한 에너지고교, UNIST (원자력공학부),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등 교육기관과 기술개발, 실증화를 지원할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울산TP 등 연구기관이 집적화 돼 있다.

원전해체연구소에서 개발한 기술의 산업화를 이룰 방사선 측정 관리, 제염기술, 해체 및 절단기술, 폐기물 처리와 환경복원기술 연관분야 기업이 들어서 있다. 원천기술 확보가 쉽고 원전해체 기술연구의 실증화도 용이하다는 것이다. 부산도 기계부품업과 연구 인프라를 잘 갖추고 있다. 한국생산성기술연구원과 부산기계기술연구센터 등에서 원전해체를 위한 기술개발 사업을 진행 중이다. 두 도시와 관련기관들이 잘만 공조한다면 동반 성장의 새로운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