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울산과학기술원 경영관에서 ‘울산시, 미세먼지로부터 안전한가’라는 주제로 개최된 포럼에서 참가패널들의 토의를 하고 있다  
 

미세먼지 농도 증가에 따른 사망률이 울산지역이 타 지역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미세먼지 성분분석에 대한 연구가 턱 없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울산은 다양한 산업단지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의 고유한 특성이 있고, 개별 사업장에서 배출된 화학물질이 대기 중 광화학 반응으로 새롭게 미세먼지로 생성될 가능성이 있지만 이에 대한 모니터링 기반의 연구가 전무해 지역특성에 맞는 미세먼지 정책이 전무하다는 것이다.

24일 울산과학기술원 경영관에서 ‘울산시, 미세먼지로부터 안전한가’라는 주제로 개최된 포럼에서 울산과학기술원 최성득 교수는 미세먼지의 주요 구성성분 중 하나인 유기탄소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미세먼지는 이온, 금속, 원소 탄소, 유기 탄소 등이 구성하고 있는데, 울산의 미세먼지에 어떤 유기물질이 있는지 확인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미세먼지 유기성분 중 그나마 알려진 물질은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정도다. 다환방향족탄화수소는 대기 중에서 다른 물질과 결합하거나 분해되는 과정에서 더 독성이 강한 물질로 변환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 외에 유기물질에 대해서는 정보가 전혀 없다는 것이 최 교수의 설명이다.

최 교수가 실제 연구한 내용에 의하면 산업단지가 이러한 대사물질 오염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럼에도 인체 위해성 평가에서는 매우 제한된 물질만을 다뤄지고 있는데, 이 평가는 실질적 위해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최 교수는 “미세먼지 농도가 낮아져도 독성은 더 강해질 수 있다. 그런데도 성분분석 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울산을 비롯 정부가 미세먼지 중량 농도 관리를 위해 노력해 오고 있지만 구성성분 보다는 단위 부피당 총 무게만을 다루고 있어 정확한 유해성 여부를 알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환경부의 정책은 과학자들이 아는 것보다 느리다. 환경부에 의존해서는 울산시민들의 안전을 담보할 수 없기에 산업수도의 이름에 걸맞게 선도적인 연구와 정책마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주제 발표에서 송창근 울산과기원 도시환경 공학부 교수는 ‘미세먼지-관측으로 바라본 현실과 당면한 과제’라는 발표에서 동아시아와 한반도 미세먼지 특성을 살피고, 울산지역 미세먼지 특징을 풀어냈다.

송 교수는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은 주로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가스 형태의 질소산화물 등에 의한 2차 미세먼지 생성이 문제로 꼽힌다”면서 “그러나 울산은 공장 등 사업장과 자동차 배출가스 영향이 동시에 존재하며, 특히 석유화학 공정과 선박 도색 과정에서도 미세먼지가 배출될 가능성이 크다”고 소개했다.

그는 “이런 지역적 특성을 반영해 미세먼지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자체 단위 미세먼지 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면서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를 구축해 지역 단위 미세먼지 지도를 만들고, 고해상도 미세먼지 예측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오인보 울산의대 환경보건센터 교수는 ‘울산 미세먼지와 보건 위험성’이라는 발표를 통해 “1999∼2013년까지 5년 단위로 분석한 10만 명당 폐암 발생률을 보면, 울산은 모든 기간에서 전국 평균보다 유의미하게 높다”면서 “이는 산업시설에서 나오는 대기오염 물질과 도심 교통의 영향이 더해진 영향이다”라고 밝혔다.

오 교수는 “미세먼지 배출원을 줄이고, 노출 중심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제공하는 등 국가와 지자체 차원의 정책적 접근은 물론 중요하다”면서 “동시에 미세먼지 배출과 농도 변화를 이해하고, 마스크나 공기청정기를 사용하거나 물과 과일을 섭취하는 등 개인적 노력 역시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날 전문가 토론에서는 이명인·최성득 울산과기원 도시환경공학부 교수, 서영교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사, 마영일 울산발전연구원 박사, 김유정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박사, 이성근 울산시민안전포럼 대표 등이 지역에 특화한 미세먼지 대응책 마련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날 포럼에는 학계, 지자체, 기업 관계자와 시민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