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사스 오스틴공장 등 확장 가능성…"가장 안전한 보호막"
업황 전망·기술 유출 등 변수 "지금은 생산차질 최소화에 역량 집중

일본 정부의 대(對)한국 소재 수출 규제로 인한 피해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삼성전자가 미국 현지 생산라인 확대를 중장기 대응 방안의 하나로 검토하는 것으로 22일 알려졌다.

이번 사태가 해결되더라도 향후 재발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는 판단에 따라 소재·부품의 조달처 다변화와 함께 일본 '횡포'를 차단할 수 있는 '그린존(Green Zone·안전지대)'을 추가 확보한다는 구상인 셈이다.

특히 이는 최근 미국 정부의 적극적인 외국기업 투자 유치 노력과 맞물리면서 조기에 구체화할 수 있다는 관측까지 나오고 있어 주목된다.

22일 업계 등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달 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을 계기로 미국 현지에 추가 투자할지 여부와 대상 분야, 이로 인한 이해득실 등을 점검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이 방한 기간에 삼성전자의 반도체 생산공장 등에 큰 관심을 보이며 미국에 대한 투자를 거듭 당부한 데 따른 것이다.

그는 당시 한국 경제인들과의 간담회에서 "우연히 어떤 건물 위를 비행했는데, 내가 지금까지 본 가장 큰 건물들 가운데 하나였다"면서 "그건 삼성이었다. 제조업 건물(manufacturing building)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엄청나게 넓고, 높이 솟아오른 건물이었다"며 "나는 거기에서 아이디어를 얻고 싶다"고 감탄을 쏟아냈다.

구체적으로 지목하진 않았지만 방한 첫날 오산 공군기지에서 전용 헬기인 '마린원'을 타고 용산 미군기지에 내렸다가 청와대로 이동한 동선을 감안하면 삼성전자 화성캠퍼스로 추정된다는 게 삼성 측의 설명이다.

실제로 삼성전자 화성캠퍼스에는 몬드리안의 추상화를 연상케 하는 디자인이 적용된 대형 건물과 함께 현재 극자외선(EUV) 생산라인 건설이 진행되고 있어 그 자체로 장관을 연출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이재용 부회장을 비롯한 참석자들에게 "미국에서 투자하고, 사업을 하고, 일자리를 만드는 데 지금보다 좋은 때는 없다"며 각종 세제 혜택과 규제 개혁 등을 강조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유혹'에 따라 미국 추가 투자 방안을 검토하던 와중에 일본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부가 소재 수출 규제라는 '횡포'에 나서면서 가능성은 더 커졌다는 관측이 나왔다.

한일 갈등이 단기간에 끝날 사안이 아니기 때문에 일본 정부가 이를 빌미로 한국 산업을 겨냥한 '횡포'를 이어가더라도 미국 내 공장을 건드리긴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중장기 전략 차원에서 투자를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일본이 한국에 대한 일부 핵심 소재 수출을 규제하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현지 공장으로 향하는 물량도 통제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미국이 '피신처'가 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한 재계 관계자는 "미국과의 관계를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일본에 맞서기 위한 전략적 접근으로 미국 현지 공장 건설을 검토하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현실화한다면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보호막'이 되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삼성전자가 투자를 결정할 경우 가장 먼저 거론될 수 있는 곳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법인이 있는 텍사스주(州) 오스틴이다. 부지가 충분한 데다 현지에 구축된 연관 시설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일본의 공격이 전방위로 확산하는 것에 대비해 지난해 준공한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세탁기 공장에 이어 가전 생산라인을 추가 건설할 가능성도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추측이다.

다만 현지 공장 건설은 자금 상황을 비롯해 제품 수요, 업황 전망, 기술 유출 가능성, 현지 상황 등 여러 변수를 참작해야 한다는 점에서 당장 이를 결정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당장 구체적으로 추진되는 것은 없는 것으로 안다"면서 "우선 소재 확보를 통해 기존 생산라인 가동 차질을 최소화하는 데 역량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