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철호 시장과 시의회 행정자치위원, 전문기관, 시민단체 등이 14일 시청 상황실에서 열린 원전사고대응 울산시민대피 시뮬레이션 구축 최종보고회에 참석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심현욱 기자  
 

원전사고 발생 때 시민들의 신속한 대피를 위한 종합적인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이 국내 지자체 최초로 울산에 구축됐다.

원전사고 발생때 주민 대피와 구호, 복구 등이 필요한데 우선 주민 대피중 바람의 방향에 따라 어떤 도로를 통제하고 주민들을 어떻게 구호소까지 이동시킬 것인지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구체화 한 것이다.

다만 부산이나 밀양 등 관외 대피소 구축에 대해서는 지자체간 협의 등이 이번에 마무리하지 못했다.

울산시는 14일 오후 시청 상황실에서 ‘원전사고 대응 울산시민 대피 시뮬레이션 구축 용역 최종보고회’를 열었다.

울산시는 2015년 방사선비상계획 구역 확대 이후 방사능 누출사고에 대비해 현장 조치 행동 매뉴얼 수립, 방사능 방재훈련 등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더 효율적인 주민 보호를 위해 지역별 지형, 기상, 교통 등 제반 조건을 반영한 과학적이고 종합적인 시스템 구축이 필요했고 지난해 5월부터 1년강 3억원을 들여 시민 대피 시뮬레이션 구축 용역을 진행했다.

이날 보고회에는 송철호 울산시장, 울산시와 울산시의회 관계자, 전문가, 시민단체 회원 등 30여명이 참석했다.

용역의 주요 내용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의 주민보호 조치를 위한 기술지원 시스템과 국가교통정보센터의 실시간 교통현황 정보 API 연계, 울산시 방사능 방재 관련 데이터 구축, 2019년 개정된 주민소개 전략을 반영해 구호소 사전 지정이 아닌 바람 방향을 고려한 거점 기반의 주민소개를 위한 교통 시뮬레이션 분석 등이다.

울산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중앙부처의 방사능재난 시 주민보호 조치를 위한 기술지원 시스템과 연계된 정보공유 체계를 마련하고 방사선비상계획구역 내 주민의 신속한 대피를 위해 주대피로와 우회경로 산정 및 장래 개통 예정도로(2030년까지)를 고려한 ‘주민소개 예상시간’을 도출했다.

또 울산을 4개 거점 지역으로 나눠 바람의 방향에 따라 사용 가능한 거점지역을 구분했다. 고리원전의 경우 북서풍이 불 경우 중구,북구, 남구 등 거점B 지역 33개 구호소와 C거점인 동구지역 6개 구호소를 이용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북풍의 경우 언양읍, 삼남/상북지역 A거점 9개 구호소를 사용하도록 하고 월전원전 사고때 남서풍이 불 경우 A와 B, 온양과 서생읍의 2개 구호소로 묶은 D거점을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보고서는 원전사고때 어떤 수단을 이용해 어디에 집결하면 버스가 해당 지점으로 몇 대 투입되고, 해당 버스의 경로는 어떻게 선정한다 등의 내용이 담긴 대중교통에 대한 대피계획도 담고 있다. 또 원전 3km이내 지역 주민들의 열차와 선박을 이용한 대피경로도 포함돼있다.

울산시는 코로나19 사태의 진정 상황 등을 지켜본뒤 빠르면 올 하반기부터 이를 활용한 주민대피 훈련을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송철호 시장은 “방사능재난 발생 시 신속한 대응과 대규모 시민 대피에 따른 효율적 주민보호 조치를 위해 지역 재난관리 책임기관 간 협업체계 구축 이 필요하다”며 “앞으로 중장기계획 수립을 통해 시민의 신속한 대피를 위한 종합적인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다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