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2021~2030 동해안권발전종합계획(안)’ 발표
울산 ‘융복합에너지’∙강원 ‘생태관광’∙경북 ‘해양 관광’ 거점으로
중국·러시아·일본 등 환동해권 교역∙경제권 중심축 성장 기대

오는 2030년 울산은 동해안권 수소경제벨트이자 정부의 신북방정책의 핵심 전략인 환동해권 에너지·원전벨트로 거듭난다.
중구를 제외한 4개 구·군 모두 동해안을 끼고 있는 만큼 북한과 중국·러시아·일본 등 환동해권 국가의 연결축이라는 지정학점 강점을 잘 살린다면 30조가 넘는 생산유발 파급 효과가 기대된다.
강원~경북~울산을 잇는 7번 국도를 활용한 국내 대표적인 ‘동해안 드라이브 여행’ 프레임도 확립한다.
이를 위해선 동해안 벨트권인 강원도는 물론 경상북도와의 연계와 협업, 역할분담이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이런 내용은 1일 울산시가 발표한 ‘2021~2030 동해안권발전종합계획(안)’에서 확인됐다.
시는 오는 12일 시의회 3층 회의실에서 열릴 예정인 주민공청회를 앞두고 홈페이지에 동해안권발전종합계획(안)을 고시했다.

이 계획(안)에 따르면 2030년 울산과 동해안권은 △중국·러시아·일본 등 환동해권 교역·경제권의 중심축으로 성장하고 △동해안 남부권 중심에서 동해안축으로 국토발전 성장 거점을 확대하며 △울산~강원도 최북단인 고성까지 이동시간이 단축돼 다중심 경제공동체로 조성될 것으로 예측된다.
동해안권 지자체는 △울산은 남구·동구·북구·울주군 등 4개 △강원도 고성군·속초시·양양군·강릉시·동해시·삼척시 등 6개 △경북 울진군·울릉군·영덕군·포항시·경주시 등 5개로 모두 15곳이다.
이 경우 동해안권 전체는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동시에 수소경제시대를 견인하는 국내 수소경제벨트로 재탄생한다.
권역별로는 동해 남부권에 속하는 울산은 포항·경주·영덕과 함께 ‘원자력’과 ‘원전해체산업’, ‘풍력산업’ 등 에너지 신산업 중심의 융·복합에너지 거점으로 구축된다.
또 동해 북부권인 강원도 고성·속초·양양·강릉은 DMZ지역과 산림휴양지역, 백두대간 인근 생태관광지 기반을 활용한 국제생태관광 거점의 중심지가 된다.
아울러 동해 중부권인 강원도 강릉·동해·삼척과 경북 영덕·울진은 동해안의 풍부한 해양자원과 청정자원을 바탕으로 해양자원·관광 거점으로 거듭난다.
이와 함께 울릉권인 울릉도·독도는 영해를 확정짓는 전략적 요충지로서 동해 영토 관리 거점으로 조성된다.
이런 계획이 원활하게 실현되려면 동해안권 3개 시·도간 연계와 협력, 역할분담 등 협력프로젝트가 유기적으로 이뤄져야 하는데 울산의 경제자유구역, 석유화학산업, 원자력해체산업의 역할이 주목받고 있다.

경제 뿐 아니라 동해안 관광허브 구축도 기대된다.
△강원~경북~울산을 잇는 7번 국도를 활용해 국내 대표적인 동해안 드라이브 여행 프레임을 구상하고 △초광역협력을 통한 해양헬스케어+관광 산업을 융합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고 △지질에 대한 높은 관심도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해 기암괴석과 바다풍광을 감상할 수 있는 해안 둘레길을 조성한다.

산업고도화와 신산업육성도 꾀한다.
△3D프팅, 자율주행차, 소재산업 육성 기반을 조성하고 양성자 연계 연구, 생체모사융합연구 등을 위한 R&D 기반도 동시에 조성한다. 또 △자율운항선박 실증, 해양디지털 재난·안전 감측망 구축 등으로 조산해양산업을 고도화하고, 여기에 게놈, 해양생물 자원, 신약개발, 해양심층수 개발사업을 통한 바이오 신산업을 육성한다.

이를 통해 △생산유발 30조8,711억원 △부가가치유발 13조4,277억원 △고용유발 204만8,000명 규모의 파급효과가 예측되고 있다.
한편 동해안권 발전종합계획은 ‘동·서·남해안 및 내륙권 발전 특별법’에 따른 법정계획으로 초광역권 개발을 추진하는 국가계획이다. 2016년 ‘동해안권 발전종합계획 1차 변경계획’ 이후 해안내륙발전법의 유효기간이 2020년에서 2030년으로 연장됨에 따라 이번 계획에 정책환경과 대내외 여건 변화가 반영됐다.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