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금융경영硏 ‘동남권 기업 인도차이나반도 진출현황·시사점’ 보고서

직접투자 비중 전체의 34.8%로 중국의 두배 넘어…최대 투자처
외투 증가 등 연평균 경제성장률 5.8%…세계 평균 크게 앞서

美 금리인상으로 외국인자본 유출 압력 등 리스크 주의해야
현지조사·금융기관 투자자문 등 시장진출 전 철저한 검토를

울산을 비롯해 제조업 밀집지역인 동남권 기업들이 사드 문제로 불안정한 중국 대신 인도차이나반도 국가들을 ‘포스트 차이나’로 눈을 돌려야 한다는 제언이 나와 관심을 모은다.

29일 BNK금융그룹 소속 BNK금융경영연구소가 발표한 ‘동남권 기업의 인도차이나반도 진출현황 및 시사점’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동남권 기업의 최대 해외 직접투자 지역은 인도차이나반도로 전체 투자 중 34.8%를 차지하고 있다.

다음으로는 중국(16.5%), 멕시코(9.7%), 미국(7.7%), 일본(5.6%) 순으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최근 3년간 인도차이나반도에 대한 투자는 연평균 5.8%의 빠른 증가세를 보인 반면 미국과 중국은 20% 내외의 투자 감소세를 보였다.

인도차이나반도 중 국가별로 살펴보면 베트남에 대한 투자비중이 2016년 72.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말레이시아(8.1%), 태국(7.6%), 캄보디아(5.1%), 미얀마(4.0%), 라오스(2.5%) 순으로 조사됐다.

베트남은 동남권 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도 투자비중이 가장 높은 국가이며 이는 저렴한 인건비, 정치적 안정성, 내수시장 성장세 등에 기인한다.

업종별 투자비중은 제조업이 가장 높은 상황이지만 2014년 71.2%에서 2016년 62.6%로 매년 비중이 감소하고 있다. 이는 인도차이나반도의 내수시장 성장에 따른 도소매, 건설, 운수업 등 타 업종의 진출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도소매업은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 유통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국가들을 중심으로 2014년 6.5%에서 2016년 13.6%로 비중이 크게 높아졌다.

인도차이나반도 국가들은 글로벌 경기둔화에도 불구하고 인프라 투자 확대, 외국인직접투자 증가 등으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2014~2016년 경제성장률은 연평균 5.8%로 세계 경제성장률(3.2%)의 1.8배 수준에 달하며 2017~2019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5.8%로 세계 평균(3.3%)을 상회한다. 따라서 ‘포스트차이나’로 부각되고 있는 인도차이나반도에 대한 투자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하지만 대외 불확실성으로 인도차이나반도의 리스크 확대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어 주의도 필요하다. 미국의 경기 회복으로 인한 금리인상이 예상보다 빨라질 경우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 비중이 높은 말레이시아와 라오스는 외국인자본 유출 압력으로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있다.

미국의 TPP 협상 철회 등 보호무역주의 강화 움직임과 유럽의 정치적 불확실성 증가는 대 미국, 대 EU 수출비중이 높은 캄보디아, 베트남 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 중국의 경기둔화는 대 중국 수출 의존도가 높은 라오스, 미얀마에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진출하려는 기업들은 정부 또는 KOTRA를 통한 현지조사, 금융기관이 제공하는 회계, 법률 등의 투자자문 서비스를 적극 활용하는 등 철저한 사전검토가 요구된다.

BNK금융경영연구소 박재현 수석연구위원은 “사드배치에 따른 중국과의 마찰,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움직임이 거세지면서 미국과 중국에 편중된 무역구조를 개선할 필요성이 높아졌다”면서 “고성장에 거는 기대가 큰 인도차이나반도에 대한 기업들의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