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해일 시뮬레이션 결과
부산보다 울산 피해규모 커
업계 안정성 평가도 확률론적
다수 원전 집중된 경우 배제
관련 연구·조례제정 서둘러야

울산지역이 지진으로 인한 원전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지금부터라도 광역자치단체에 전담부서를 신설해 관련 연구와 조례제정을 시작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울산환경운동연합은 지난달 31일 “지진과 해일이 동시에 발생하는 핵발전소 최악의 시나리오가 현실화될 경우 부산보다 울산의 피해규모가 더 크다는 민간 시뮬레이션 결과가 나왔다”며 이처럼 제안했다.   

앞서 부산환경운동연합은 지난달 5일 울산 동구 앞바다에서 5.0규모의 지진이 발생하자, 긴급진단 세미나 ‘한반도 동남부 최대 지진 발생 시나리오’를 27일 개최했다.   

당시 세미나에는 손문 부산대 지질환경과학과 교수와 양이원영 환경운동연합 처장, 장다울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선임캠페이너가 참여했다. 

이날 손문 교수는 ‘한반도 동남부 잠재 최대지진’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원전을 지을 때 내진설계를 했지만 규모 6.5 이상의 지진은 나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 아래 이뤄졌고, 만약 7.0 이상의 지진이 일어나면 속수무책이 될 것”이라며 “해안을 끼고 있는 울산은 지진 뿐 아니라 해일 위험도 큰 만큼  다른 어떤 지역보다도 전담부서를 만들어 관련 연구와 조례제정을 시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근 부산과 울산에서 발생한 악취냄새는 지진의 전조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국가차원의 지질 감시체계가 없다보니 국민안전처가 확실한 발표를 할 수 없어 ‘도시괴담’이 속출하게 된 것”이라고 부연했다. 

양이원영 처장은 ‘최대지진 발생시 사고 시나리오와 대책’ 주제발표에서 “국내 원전업계는 핵발전소 최악의 시나리오인 지진과 해일이 동시에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한 채 ‘확률론적인 안정성 평가’를 할 뿐”이라며 “때문에 안정성 확보가 어렵고 신고리 5,6호기처럼 다수의 원전이 한곳에 집중돼 있을 경우의 안정성 역시 배제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원자력 대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원전사고 모의실험을 통해 피해규모를 가늠하고 있는 반면 우리 정부는 그렇지 않은 탓에 민간이 대신 시뮬레이션을 주도하지 않고 있다”며 “그 결과 울산이 부산보다 더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정부는 결과치를 받아들이기보다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의견만 내놓고 있다”고 부연했다.  

장다울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선임캠페이너는 ‘고리원전 부지 통합리스크’ 주제발표를 하면서 “일본은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로 지금까지 140조의 피해비용이 발생했고 앞으로 더 늘어 날 것”이라며 “만약 국내에 원전 사고가 난다면 100조원 중 99조는 국민이 부담하는 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울산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울산은 ‘화약고’인 석유화학공단에서부터 핵발전소까지 한반도에서 위험요소가 가장 많이 포진된 지역”이라며 “울산시는 지금부터라도 지진연구를 전담할 관련부서를 신설하고 조례를 제정해 시민들의 안전과 재산을 지켜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