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날리는 좌판을 바라보는 생선 장수 같다.” 댓글 하나 달리지 않은 자신의 기사를 볼 때면 처량한 생각이 든다는 어느 기자의 푸념이다. 대통령 신년기자회견장에서도 댓글은 화제가 됐다.

온라인에서 지면 오프라인에서도 지는 것이다. 전쟁은 주로 댓글을 놓고 벌어진다. 집단의 힘이나 특수 프로그램을 동원해 특정 댓글의 ‘좋아요’ 수를 압도적으로 늘리면 그 댓글이 맨 윗자리를 차지한다,  그리고 그것이 ‘국민 여론’이 된다. 한국에서 네이버는 디지털 혁명의 총아(寵兒)다. 1998년에 토종 검색 엔진으로 사업을 시작해 대기업집단(재벌)이 됐다. 대다수 국민에게 네이버는 삶의 동반자다. 이를 통해 갈 곳과 먹을 것을 정하고 물건을 사고, 뉴스를 본다. ‘드루킹 게이트’에서 보듯 네이버는 여론의 전쟁터다.

국민 77%가 포털을 통해 뉴스를 읽는다. 네이버의 포털 시장 점유율이 90% 이상이니 최소한 국민의 55%가 네이버를 통해 뉴스를 ‘소비’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인터넷 댓글을 보면 파괴된 교양, 분열된 인성이 한국인의 심성에 진한 회의를 품게 만든다. 
인터넷을 ‘정보의 바다’라고 하지만 우리 인터넷 포털은 ‘광장’이다. 북소리가 울리고 횃불과 죽창이 난무하는 그런 광장이 되고 말았다. 네이버나 다음 같은 포털이 뉴스만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공감’ ‘비공감’ 같은 감정 기능까지 넣고, 댓글 기능을 탑재해 뉴스를 나열해주기 때문이다. 정권 쟁취를 눈 앞에 둔 이들로서는 포털 댓글에 안달이 난다. 그럴 때마다 ‘작업’ 세력이 존재하는 이유다.

마르크스가 ‘종교는 인민의 아편’이라고 했다. 21세기 한국 사회의 아편은 댓글이다. 곳곳에 댓글에 취한 사람들이 우글거린다.

‘드루킹’ 댓글 여론 조작 사건은 온란인 여론의 조작과 왜곡에 대한 우려가 현실로 드러나고 있다. 여론 조작은 공론장을 황폐화하고 제도권 정치에 대한 시민들의 신뢰를 훼손한다. 여론 조작을 가능케 하는 환경인 특정 포털의 왜곡된 뉴스 유통 방식 독점과 댓글 정책 등 여론 형성의 구조가 시급히 개선돼야 한다.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