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시공장장협의회가 6일 오전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산업폐기물 최종처분시설 증설 등 지역 내 산업기반시설 확충을 촉구 기자회견을 가졌다. 임경훈 기자  
 

“갑자기 사람들의 배설물을 처리하지 못한다면, 어떤 일이 발생하겠습니까. 앞으로 2년 뒤 울산지역 기업들이 직면하게 될 상황입니다.”

울산시공장장협의회 등 6개 공장장협의회는 6일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포화상태에 이른 산업폐기물 처리시설과 산업단지 하수처리시설 확충을 촉구했다.

협의회에 따르면 울산지역 산업폐기물 매립장은 모두 3곳으로, 대부분 포화상태에 이르러 2년 뒤에는 폐기물 처리가 불가능하다.

이마저도 현재 1곳은 사후관리를 위해 폐기물을 안 받고 있고, 2곳도 폐기물 처리가 불가능한 수준이 이르렀다.

이 때문에 울산기업체들은 전국을 다니며 폐기물 수용이 가능한 시설을 찾는 실정이다. 이 같은 문제를 겪고 있는 기업들은 국가산단에 위치한 기업을 포함해 1,000여곳에 이른다.

실제 울산시공장장협의회 등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울산지역에서 배출된 폐기물 가운데 65%가 타 지역에서 처리됐다.

문제는 타 지역에서 처리하게 되면 운송비까지 더해져 비용도 그만큼 올라가게 된다는 점이다.

공장장협의회는 “지난해 말과 비교해 폐기물 처리 비용은 3배 이상 인상됐다”며 “이미 포화상태인 울산 폐기물처리업체에서 처리하면 더 많은 비용을 받아 울며 겨자먹기로 타 지역으로 가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실제 산단에 입주한 한 기업의 경우, 한 해 약 100억원을 폐기물처리비용으로 사용했다. 이마저도 점점 더 올라가 향후 수년 안에는 3배 까지 뛴다는 게 공장장협의회의 주장이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환경부가 올해 말 국회에 제출 예정인 ‘폐촉법(폐기물처리시설 설치 촉진 및 주변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이 원안대로 통과하면, 지역 간 폐기물 이동이 어려워져 ‘폐기물 대란’까지 우려되는 상황이다.

협의회는 “울산시나 한국산업단지공단은 공영개발을 통해 산업폐기물 처리시설을 조성해주길 바란다”며 “민원이 크게 우려되지 않는 후보지가 울산지역 산업단지 내에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공영개발이 불가능하다면 용도 무효화된 산업부지를 폐기물처리가 가능한 곳으로 용도 변경한 뒤 울산 기업들이 자본을 투자해 해당 부지에 폐기물처리업체를 조성하는 일종의 컨소시엄 형태로 개발하는 방안도 있다”고 말했다.

또 “울산 관내 국가산업단지(울산·미포, 온산)에는 하수처리장 2곳이 운영되고 있는데 시설용량 대비 유입량이 최대 93%에 달한다”며 “부족한 하수처리장 때문에 공장 증·신설이 불가능한만큼 하수처리시설 확충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울산시는 폐기물처리시설을 공영개발 하는 것이 법적으로 타당한지를 검토하기 위해 울산녹색환경기술개발센터가 내년에 관련 연구과제를 수행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