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직영, 민간위탁 등으로 분산 관리되고 있는 지역 환경기초시설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울산환경공단(가칭) 설립을 추진한다.

울산시는 지방공기업법 제49조제1항 및 지방공기업 설립·운영 기준(행정안전부, 2017.12.27.)에 따라 행정안전부와 공단 설립전 1차 협의를 최근 마쳤다고 30일 밝혔다.

울산시는 이에따라 행정안전부 의견을 반영해 구체적인 설립계획을 수립하고, 전문기관의 설립 타당성 검토를 거쳐 행정안전부와 2차 협의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행정안전부는 1차 협의에서 직영중인 기존 2개 사업소에서 공단으로 업무이관 예정인 사업 등에 대한 구체적인 공무원 감축계획 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또 환경기초시설 업무를 울산도시공사와 울산시설공단에서 나누어 수행하는 방안을 대안으로 우선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는 대전의 사례를 든 것인데 대전은 도시공사가 폐기물 수집운반 처리를, 시설공단은 1군데의 하수처리시설 운영을 맡고 있다.

울산시는 하수처리장 8개 외에 폐기물 처리시설 등 13개의 환경기초시설을 보유하고 있어 대전과 같이 기존 공사나 공단에서 처리하는 게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울산시는 울산시설공단이나 도시공사의 업무수행 능력(범위) 등 다각적으로 검토해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울산시는 7월중으로 지방공기업법에 따라 공기업 평가원의 타당성 검토용역을 발주할 계획이다. 또 내년 4월께 공단 설립이 타당하다는 용역결과가 나오면 이를 근거로 행정안전부와 2차 협의를 나서게 된다.

그 뒤 울산시에서 공단 설립심의원회를 구성하고 공단 설립이 확정되면 조례 제정과 정관 제정, 임원 선출 등의 절차를 밟게 된다.

이럴 경우 빠르면 2022년 상반기 공단 설립이 완료된다.

앞서 지난해 울산연구원(옛 울산발전연구원)에서 실시한 용역에서는 환경공단으로 추진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당시 용역에서는 울산지역 8개 하수처리장중 직영으로 운영중인 용연과 온산과 민간이 관리대행중인 회야, 언양, 방어진 하수처리장을 1단계로 묶어 공단 출범을 하는 것으로 바람직한 것으로 제시됐다.

2단계로는 민간이 건설한 굴화, 강동, 농소 등까지 맡고 폐기물 처리시설로 범위를 넓혀 나간다는 계획이다.

울산연구원이 단순 추산한 조직은 인력은 270명선, 예산은 1,000억원 규모다.

울산시는 공기업평가원의 용역이 나와보야 구체적인 인력 규모 등을 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인근 부산환경공단은 3개 본부 22개 하부조직으로 구성돼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공기업평가원의 용역결과가 나와야 공단의 인력 규모 등을 구체적으로 산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